adminFeb 07.2013
홈리스, 그 사람
By Annette Baek
"Homeless people"..., 과연 그들이 집만 없는 사람들일까?
그들을 그렇게 부르는 우리에게는 무엇이 있을까?
20여 년 전 미국에서 소위 말하는 나의 가방 끈을 처음 푼 곳은 로스앤젤레스의 산타모니카였다.
고른 잔숨을 내쉬듯 잔잔한 태평양의 광활한 수면이 태양빛에 반사되어 황홀한 은빛 춤을 추어내는 그런 곳이었다.
온기가 훈훈히 느껴지는 촉촉한 바다 바람이 은막 앞에 일렬로 심어진
장성한 야자수들의 키 큰 잎줄기들을 살랑살랑 흔드는 그런 곳.
그러나 이 풍광 좋은 그림에 끼어 나의 주의를 단박에 끄는 사람들이 있었다.
홈리스 피플이라 불리는 그들은 거지라기보다는 오히려 보헤미안의 집시들 같아보였다.
넉넉한 야자수 잎과 기둥을 캐노피 삼아 곱게 다듬어진
해변도로 옆 잔디 위에서 따사로운 햇살을 받으며 평화로이 자고 있는 모습, 저녁이 되면 배낭을 메고 어디론가 터덜터덜 걸어가는 여유마저 느껴지는 그들의 뒷모습...,
한국의 지하도나 육교 위에서 구걸을 하던 사람들과는 사뭇 달랐다.
얼마 안 있어 나는 그들 중 꽤 많은 사람들이
1980년대 레이건 행정부의 작은 정부 구현으로 정부산하 정신보호소가 폐쇄되자 가족에게도 버림받은 오갈데 없어진 사람들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.
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그들은 나의 산타모니카 그림의 자연스러운 일부가 되어버렸다.
몇 년이 지났을까? 여느때 처럼 밝고 분주한 그 거리에서 나는 그만 영문 모를 공격을 당하고 만다.
저 반대편에서 걸어오던 한 홈리스 남자가 나를 스쳐가면서 그의 팔꿈치로 내 귀를 후리치며 달아나 버린 것이다.
말할 수 없는 통증이 몰아쳐 내렸다.
다행히 큰 손상을 입지는
않았지만 사람들이 몰려들어 나의 상태를 확인하는 창피한 소동을 참아내야만 했다.
그 때부터 내 그림의 자연스런 일부였던 그들은 경계의 대상으로 변했다.
그러나 나의 이런 경계심만으로는 정신착란을 앓고 있었던 그들의 무의식적인 공격에 완벽히 대비할 수 없었음을 깨달은 또 다른
사건이 일어났다.
ATM에서 돈을 찾고 있던 나의 등을 지나가던 홈리스가 있는 힘을 다해 그의 손으로 내려친 것이다.
내 뒤에서 줄을 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던 다른 사람들이 미처 손을 쓸 사이도 없이 일은 순식간에 일어났고, 이번에는 내 몸 윗부분을 숨막히게 관통하고 울려대는
고통을 참아내야만했다.
그러나, 그 때까지도 그들은 내 그림 안에서 흩뿌려져 간간히 보이는 일점 경계의 대상이었을 뿐 커다랗게 검은 구름을 몰고 오는 공포의 대상은 아니었다, 적어도 또 다른 일이 있기까지는...
세 번째 사건은 LA의 다운타운에서 일어났다.
주말이면 도시의 공동화 현상으로 썰렁하다 못해 을씨년스러운 토요일 저녁 즈음 일방통행이 많은 그곳에서 나는 돌아올 길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었다.
점점 더 낯설고 이상한 방향으로 운전을 하고 있다고 느껴져 다른 쪽으로 방향을 튼
순간, 그곳에는 이 세상에서 처음 보는 어마어마한 수의 기괴한 무리의 세계가 펼쳐져 있는 것이 아닌가!
저녁이 되면 일정한 곳으로 운집하는 홈리스 집단이었다.
아니, 집단이라기 보다는 수 블럭의 도로를 단숨에 에워차 점령한 공포의 물결이었다.
머리부터 발끝까지 온통 거뭇하게
보이는 그들의 물결이 저만치부터 내 차 쪽으로 밀려오고 있었다.
'나를 향해 오는 것인가, 내 차를 깨어 부수고 나를 해하려 하는 것은 아닌지, 앞 방향으로 운전을 계속하다 저들이 차를 피하지 않으면 치게 되는 것은 아닌지, 차를 멈추면 당장 달려 드는 것은 아닌지...,'
찰나 동안 수 많은 상상과 생각이 공포감과 맞물려 나의 심장을 겉잡을 수 없이 요동치게 만들며 혼미함 속으로 나를 몰아가고 있었다.
무서웠다.
공포와 짓싸우고 있을 때 내 차 오른쪽에서 내게 힘이 되는 무언가가 있음이 느껴졌다.
나와 똑같이 무서움의 포로가 되어 달팽이 걸음
운전을 하고 있는 내 또래의 백인 여자였다.
서로 눈이 마주치자마자 우리는 이내 한마음이 되어 힘을 얻기 시작하였다.
고맙게도 인해바다를 이루었던 그들은 물결이 갈라지듯 우리 차를 피해 주었다.
그곳을 무사히 빠져 나온 것이다.
그 일 이후로 나는 로스앤젤레스를 떠나 다른 곳으로 이주하게 될 때까지 그 공포의 검은 구름을 내 그림에서 애써 지워내었다. 약하고 병들고 가엾은 그들의 실상이 내가 겪은 몇 번의 트라마로 왜곡되고 여과되어져 인간 대 인간으로서 그들의 영에 반응하려는 내 영혼의 울림을 억지로
누르며 삮여 버리기 시작한 것이다.
하지만 하나님의 자녀로서 우리가 소유한 영혼의 본질은 나쁜 기억 따위는 능히 극복하고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의 마음을 닮아가려는 성향이 있는지, 그들을 향한 내 마음이 다시 열리기 시작하였다.
그리고 한 달 전 샌프란시스코에서 보았던 그 사람, 한 홈리스의 모습은 나의 뇌리와
가슴에 박혀 지금 이 순간에도 절절한 아픔을 느끼게 한다.
그에게는 영혼이 더 이상 존재하는 것 같지 않았다.
이전에 나를 해했던 사람들은 최소한 생명력이 느껴졌었는데... 그는 죽은 듯 누워 있었다.
아니, 이미 죽었는지도 모른다.
추위를 덜기 위함이었는지 맨홀 옆 독한 연기가 모락모락 나오는 곳에 꼿꼿이 누워 있었다.
신발을 왜
가지런히 벗어 옆에 두었을까?
드러난 저 지저분한 발이 걸어왔을 그의 인생의 험난한 여정 이야기를 듣지 않아도 알 수 있을텐데, 그 분주한 마켓 스트리트에서 그를 거들떠 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.
아니, 피식거리며 조롱하듯 웃고 가는 사람은 있었던 것 같다.
모두들 나처럼
홈리스에 대해 트라마가 있었던걸까?
무엇이 이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한 육신의 처절한 삶의 나락 끝 앞에서도 저토록 냉담하게 만든 것일까?
나는 그 장소를 쉽게 떠나지 못하고 갔다왔다를 반복하였다.
하지만 그를 흔들어 생사여부를 확인할 용기도, 함께 도와줄 사람을 찾아 외칠
용기도 없었다.
거리를 지나는 무수한 사람들의 절대적인 무관심의 집단적인 암묵적 힘에 절로 눌리고 만 것이다.
결국 나는 그를 위하여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마음 속으로 기도를 한 채 그 자리를 뜨고 말았다.
부끄러웠다.
하나님께서 주신 하나님의 마음을 사람들의 눈이 무서워 저버린 것 같아 아직도 마음이 무겁다.
그리고 진정 영혼이 없는 자는 홈리스 그 사람이 아니라 그렇게 무덤덤하게 지나칠 수 있는 마음의 떨림이 없는 우리들이 아닐런지 하는 생각이 든다.
그 날 이후 더한 추위가 몰려왔었는데 샌프란시스코의 그 사람은 어떻게 되었을까?
살아 있기를 빈다.
그래서 하나님께서 그 찢어질대로 찢긴 영혼에도 함께 하심을 아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.
Read More